국회에서‘이재명 정부의 對 중동정책 방향’세미나 개최... 국익중심 중동 실용외교 모색 나서 |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중동 지역 관계 재정립 필요성 대두 홍기원 의원 “이재명 정부 국익중심 실용외교 뒷받침할 중동 지역 실질 정책 마련 기대” |
급변하는 중동 정세 속, 이재명 정부의 국익중심 실용외교 전략을 도모하기 위한 <이재명 정부의 對 중동정책 방향>세미나가 1일(화) 국회의원회관 제5간담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홍기원 의원(더불어민주당, 평택갑)과 (재)한국-아랍소사이어티가 공동주최하고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중동·이슬람센터가 주관, Trends Research & Advisory Korea Office가 후원해 마련됐다.
이날 세미나를 공동주최한 김창모 한국-아랍소사이어티 사무총장은 개회사에서 “인도주의적 가치와 정치적 이해가 얽혀 있는 상황에서 한국도 중동 지역에 대한 입장 정립과 위상에 걸맞은 외교 방식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홍기원 의원 역시 환영사를 통해 “중동은 우리나라에서도, 국제정치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지역인데 비교적 관심 밖에 놓여 있는 상황”이라며 “이재명 정부 출범 시기에 맞춰 우리가 어떻게 정책을 펼쳐나가야 할지 고민하는 소중한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진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장은 축사에서 “시의적절하게 열린 중동 심층 세미나가 정부 정책수립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선도적인 중동 현안 긴급진단 세미나를 개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중동 외교 협력 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윤강현 전 이란대사는 “중동은 3개의 대륙을 관통할 뿐 아니라 아프리카의 모든 도시를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인 동시에 “각종 프로젝트를 성사시킬 수 있는 실행력과 구매력을 가진 지역”이라며 중동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 전 대사는 중동외교 고려 사항으로 정부의 독자적인 중동 정책 수행 의지, 중동 내 지역별 외교 해법 도출, 시장(Market)이 아닌 파트너로서의 접근 필요성 등을 언급하며 “단순 MOU 체결을 넘어선 실질 협력 구축과 함께, 민감한 지역의 경우 중동 특사를 임명하는 등 꾸준한 인적 교류 확대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경제 협력 방안 발제에 나선 이권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중동 협력에 있어서) 에너지 중심 구조로 인해 유가 흐름에 따라 우리 기업의 수주 실적이나 교역 규모가 큰 영향을 받고 있다”며 “에너지 중심의 협력을 넘어 비에너지 분야까지 협력을 다각화해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선임 연구위원은 이어, 구체적인 경제협력 방안으로 한-중동 정상회의 추진, 2023년 협상 타결된 한-GCC FTA의 조속 발효, 인도-중동-유럽 경제회랑(IMEC) 참여 등을 제시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마영삼 전 이스라엘 대사, 박준용 전 사우디아라비아 대사, 김덕일 고려대학교 중동이슬람센터 정치경제연구실장, 김종도 Trends Research & Advisory 한국소장이 지정 토론자로 참여해 중동 정책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토론자들은 중동 지역 기여를 위한 ODA 확대, 친밀 외교 및 장기적인 중동 정책 연구를 위한 재단법인 설립 등 다양한 한-중동 협력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홍기원 의원은 “오늘 세미나에서 논의된 방안들이 이재명 정부의 국익중심 중동 실용외교를 뒷받침할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0개